2025년 3월 31일 월요일

2025년, 아이폰 12 이상 기종에서 3G 요금제 사용 (아이폰 13, SKT)

 

아이폰의 경우, 3G, LTE, 5G 등의 설정은

'설정' - '셀룰러' - '셀룰러 데이터 옵션' - 'Voice & Data'  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 아이폰 12 부터는 해당 옵션에 선택항목이 LTE, 5G auto, 5G on  만 있고 '3G'는 없다.

▲ 아이폰 11 (아이폰 se (2020, 2세대) 포함) 까지는 '3G' 선택항목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아이폰 12 이상 기종에서 3G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는가?

결론 부터 말하면 '가능은 하다' 이다. 

이하 내용은 3G 요금제 (SKT, 올인원) 유심으로 아이폰 사용에 관한 후기이다. 



1. 아이폰 11 이하 기종에서의 3G 요금제 사용 (아이폰 SE (2020, 2세대) 및 아이폰 11 PRO) 

  -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지역과 사용시간과 관계없음)

  - 위 셀룰러 옵션에서 '3G'를 선택하고 사용하면 된다. 

  - 간혹 끊기거나 느린 경우가 있다. 이는 통신사 기지국에서 3G 연결 회선을 점차적으로 제거하는 추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 측 문의)  

  - 특히 고속도로, 기차 등 고속 이동시 데이터 연결이 특히 원활하지 않았다. 다만, T맵 등의 사용에는 지장이 없었다. 

  - 음성통화의 경우, 'LTE 이상의 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이 나에게 전화를 건 경우(voLTE 음성 통화)'에 비해 '내가 타인에게 전화를 건 경우(3G 음성통화)'에 음질이 확실히 안 좋다. 



2. 아이폰 12 이상 기종에서 '3G' 항목 선택 문제

   - 일단 위 셀룰러 옵션 설정에 '3G' 선택항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1) 왜 '3G' 선택 항목이 없는가?

  - 통신사, 애플 등에 문의해보고 인터넷 서칭 등을 해본 결과, 셀룰러 옵션에 '3G' 항목이 없어진 것은 제조자의 방침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달리 제조사인 애플 측에서 방침을 바꾸거나 변경을 하지 않는 한 상황이 달라지진 않을 것 같다.  


  (2) 해외 기기는 '3G' 항목이 존재하는가?

  - 해외에서 구매한 제품의 경우에는 '3G' 항목이 존재한다는 얘기가 있었다. 

  - 그러나 해외 출시 기기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3G' 항목이 없는 것으로 보이고 개인적으로 해외 출시 기기에 확인해 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3G' 항목이 없었다. 

  - 다만 뭐 모든 국가 기기를 확인해본 것은 아니므로 뭐 이는 국가별 차이이거나 복불복인 듯 하다. 


  (3) e-sim 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3G' 항목이 생기는가? 

  - e-sim 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3G'는 물론 '2G' 항목 까지도 생긴다는 이야기가 있다. 

  - 3G요금제 물리 유심을 e-sim 으로 전환하여 사용해 보았으나 '3G' 항목은 생기지 않았다. 

  - 다만, 듀얼심으로서 주요회선에 물리유심을 넣고, 추가 회선으로 e-sim(3G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 회선에서 '3G' 항목이 존재할 가능성은 있을 듯하다. (실험해보지는 않았다)


 (4) 3G APN 프로파일 수동 설정 

  - 3G APN 프로파일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있다. 강제로 3G APN프로파일 다운받고 직접 주소 입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안내되어 있다. 

  - 그러나, 위 절차를 해도 아무런 변화는 없었다. 실질적인 데이터 연결에 변화가 생긴 것도 없었다. 



3. 아이폰 12 이상 기종 (아이폰 13)에서 3G 요금제(SKT) 실제 사용기 

  - 일단 유심을 끼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통화, 문자 전부 가능하고 데이터 연결도 된다.

  - 셀룰러 옵션은 '5G auto', '5G on', 'LTE'  밖에 없고, 이 중 무엇으로 설정해놓더라도 화면 상단 안테나에는 '3G' 라고 표시되고 실제로 3g 데이터로 연결된다. 즉, '3G' 항목 존재여부와 관계없이 폰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 물리유심이든 e-sim 이든 동일했다. 

  - 셀룰러 옵션은 그냥 'LTE'로 해놓고 사용했다. 


  *물리유심 - e sim 간 상호 전환은 114 전화로는 불가하고 통신사 직영점, 대리점에 방문하여야만 가능하다. 수수료가 대략 3천원 정도 든다. 

  * esim에서 물리유심 전환시에는 유심비가 추가로 청구되나, 남는 물리유심 들고 가면 유심비가 청구되지 않는다. 

  * e sim의 경우, 기기변경시 매번 수수료가 청구된다. (3천원 정도)

  * 아이폰 기기 옮기기(마이그레이션) 하는 경우 물리 유심을 esim으로 전환할 수 있으나, 3g 유심의 경우에도 해당되는지는 모르겠고, 통신사 문의해보니 대리점 등 방문해야만 가능하다고 안내 받았다. 


  ◆ 3g 요금제 유심(SKT) 끼운 초기(1개월 정도) 

  - 전화를 거는 경우 5~10초 정도 딜레이 후 통화 연결됨. 아예 안되는 경우도 있음.

  - 전화 수신이 안되어 콜키퍼, 캐치콜 등으로 문자알림 오는 일 있음. 

  - 문자메시지 발송 매우 오래 걸림. 전송취소되는 경우 잦음. 

  - 데이터연결은 거의 먹통이나 다름 없음. 운좋으면 연결되는 느낌. 

  - 안테나는 거의 1~2개 왔다 갔다 함. ("서비스없음" 뜨는 일이 매우 잦음) 

  - 안테나가 풀로 차있는 경우에도 데이터 연결 안되는 경우 많음. 

  - 차를 타고 이동시 위 현상 매우 잦음. 네비는 거의 경로선 외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상태 흔함. 

  - 배터리 극도로 빠른 속도로 누수됨. (퍼센트 떨어지는게 눈으로 보임. 1시간만에 50%대까지 추락)

  - 대략, 전화는 10번 중 5번 정도 / 문자는 10번 중 1번 정도 / 데이터는 10번 중 2번 정도 되는 느낌. 


  ◆ 3g 요금제 유심(SKT) 끼운지 1개월 정도 지난 이후

  - 3G 데이터 연결 원활함. 딱히 일상생활에 지장 없음. 

  - 통화는 가끔 간혹 연결에 딜레이 생기는 경우 있음.  

  - 문자 등 이용에 지장 없음. 

  - 배터리도 정상적으로 사용. 

  - 간혹 안테나 사라지고 "서비스없음" 뜨나 금방 다시 잡힘. 큰 불편은 없음.

  - T맵 등 네비이용에 큰 지장 없음. 다만, 국도, 지방도 이용시 마찬가지로 데이터연결 지연으로 경로선 및 안내표시 외에 지도 화면 안뜨는 경우 가끔 있음. 

  - 차로 이동하는 경우 반드시 1회 이상, "서비스없음"이 떴다가 새로 안테나가 잡힘. 기지국이 바뀌면서 나타는 현상으로 보임. 

  

  ◆ 그러나, 

  - 평소 생활하는 지역 외에 다른 지역(다른 시 군 구 등)에서 사용한 경우, 위 개통 초기와 동일한 증상 발현됨. 통화, 문자, 데이터 모두 먹통됨. 배터리 광탈 누수되는 현상 발생.  


  ※ 사례 

   (1) A도(주요생활지역) : 초기 먹통현상 발생. 2~3주 즈음 부터는 연결 잘됨.

   (2) B도(주요생활지역) : 초기 부터 문제 발생 없이 잘됨. (같은 도내 다른 지역에서도 전부 문제 없이 잘됨)

   (3) C도 : 2일 간 체류. 사실상 2일 내내 데이터 연결 안됨. 간단한 검색도 불가한 수준. 문자는 발송취소되거나 오랜 시간 거쳐서 발송됨. 사진 전송은 불가. 통화는 가능했고 본인은 잘 들렸으나 상대방 쪽은 잘안들리고 끊긴다고 함. 

   (4) D도 : 3일 간 체류. 안테나는 잘 떴으나 실제 데이터 연결은 10회 중 2회정도만 가능했음. 간신히 간단한 검색정도 매우 오래걸려서 가능한 수준. 사실상 사용불가함. 통화는 발신에 딜레이 있는 것 외에는 잘 됨. 문자 및 imessage는 시간은 오래 걸렸으나 전송이 되긴 함. 사진 전송은 불가. 

   (5) E도 : 2일 간 체류. 안테나는 계속 풀이었음. 그러나 실제 데이터 연결은 10회 중 1회 가능한 수준. 사실상 사용불가했음. 통화는 문제 없었음. 문자는 중간정도로 전송. 

 


 4. 결론 및 요약 

  - 아이폰 12 이상 기종에서도 별다른 설정없이 3g 요금제 유심으로 곧바로 '3G' 연결 및 사용 가능

  - 셀룰러는 5G auto, 5G on, LTE 중 무엇으로 해놓든 '3G'로 연결되고, 데이터 연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음. 다만, LTE로 해놓는 편이 안테나 탐색 과정 줄일 수 있나 싶어서 나은 듯.

  - 결국, "사용한 시간" , "지역" 정도의 변수만 보임. 특정 지역 내에서 사용한 시간이 길어지면 먹통 문제가 해결되는 현상이 있었고, 새로운 지역에 가는 경우 다시 먹통이 되는 경향이 있었음. 

   - 셀룰러 옵션에 3G 항목이 없어 3G 우선 연결이 안되기 때문에 폰이 근처 기지국 등에 끊임없이 5G, LTE 등으로 연결을 시도하고 실패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듯하다. (이 경우 정상적인 사용은 거의 불가함) 이 과정에서 배터리 누수등이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 안정된 수준에 이르러야 '3G'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닐까 싶다. 


  - 개인적으로는 현재 평소 생활하는 지역에서 3G 요금제로 문제 없이 잘 이용하고 있음.

  - 그러나, 3G 회선 만으로 안정적으로 '3G'요금제와 아이폰을 사용하려면 아이폰 11 pro 이하 기종 에서 사용하는 편이 좋을 것으로 보임.  




  ※ 위 내용은 개인적인 경험에 의한 것이므로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음. 




2024년 9월 9일 월요일

Grand Slam Records 2024

 



2002, The last moment of Sampras

Australian Open : Thomas Johansson / Marat Safin
French Open : Albert Costa / Juan Carlos Ferrero
Wimbledon : Lleyton Hewitt / David Nalbandian
US Open : Pete Sampras / Andre Agassi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윔블던 1회전 탈락
-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Juan Carlos Ferrero는 프랑스 오픈 준우승(2003년 우승)
- 17번 시드 피트 샘프라스Pete Sampras가 안드레 아가시Andre Agassi를 꺾고 14번째 그랜드 슬램 우승 후 은퇴(US Open)



2003, Just before Federer

Australian Open : Andre Agassi / Rainer Schuttler
French Open : Juan Carlos Ferrero / Martin Verkerk
Wimbledon : Roger Federer / Mark Philippoussis
US Open : Andy Roddick / Juan Carlos Ferrero




- 앤디 로딕Andy Roddick 세계 랭킹 1위 및 연말 랭킹 1위 등극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첫 그랜드슬램 우승Wimbledon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그랜드슬램 데뷔(Wimbledon, 3rd Round)



2004, Federer rules!

Australian Open : Roger Federer / Marat Safin
French Open : Gaston Gaudio / Guillermo Coria
Wimbledon : Roger Federer / Andy Roddick
US Open : Roger Federer / Lleytton Hewitt
※ Olympic : Nicolas Massu / Mardy Fish / Fernando Gonzalez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세계랭킹 1위 시작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그랜드 슬램 4개 중 3개 우승, 윔블던 2회 연속 우승
- 페더러, 나달 첫 대결(마이애미 오픈Miami Open 나달 2:0 승)



2005, Federer-Nadal Rivaly begins


Australian Open :  Marat Safin / Lleytton Hewitt
French Open : Rafael Nadal / Mariano Puerta
Wimbledon : Roger Federer / Andy Roddick
US Open : Roger Federer / Andre Agassi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4개 대회 전부 Semi-final 이상 진출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그랜드슬램 첫 우승(French Open)
- 페더러, 나달 최초 그랜드슬램 맞대결(French Open, SF, 3:1 나달 승)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그랜드 슬램 데뷔(Australian Open, 1st Round)
- 앤디 머레이Andy Murray, 그랜드 슬램 데뷔(Wimbledon, WC, 3rd Round)



2006, Everything but RG

Australian Open : Roger Federer / Marcos Baghdatis
French Open : Rafael Nadal / Roger Federer
Wimbledon : Roger Federer / Rafael Nadal
US Open : Roger Federer / Andy Roddick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4개 그랜드슬램 전부 결승 진출, 3개 우승
- 페더러, 나달의 그랜드 슬램 결승 첫 대결(French Open)
- 나달, 조코비치 최초 맞대결(French Open, QF, 2:0 RT 나달 승)



2007, Surface Showdown

Australian Open : Roger Federer / Fernando Gonzalez
French Open : Rafael Nadal / Roger Federer
Wimbledon : Roger Federer / Rafael Nadal
US Open : Roger Federer / Novak Djokovic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윔블던 5회 연속 우승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그랜드슬램 4개 전부 결승 진출, 3개 우승
- 나달, 머레이 첫 그랜드 슬램 맞대결(AO, 4th Round, 3:2 나달 승)
- 페더러, 조코비치 첫 그랜드 슬램 맞대결(AO, 4th Round 3:0 페더러 승)
- 조코비치, RG-Wimbledon SF, US Open F로 3위 자리 굳히기 시작
- 빅3 최초 동시 4강, French Open, 페더러-다비덴코/나달-조코비치



2008, Finally Nadal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Jo-Wilfred Tsonga
French Open : Rafael Nadal / Roger Federer
Wimbledon :  Rafael Nadal / Roger Federer
US Open : Roger Federer / Andy Murray
※ Olympic : Rafael Nadal / Fernando Gonzalez / Novak Djokovic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첫 윔블던 우승, 첫 세계랭킹 1위 (페더러 237주 연속 1위 끝)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 오픈 4회 연속 우승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2002년 이후 첫 패배(41연승)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첫 그랜드 슬램 우승
- 2005년 호주오픈 이래, 페더러와 나달 이외 선수 처음 그랜드슬램 우승(Novak Djokovic)
- 페더러, 머레이 그랜드슬램 첫 대결(US Open, F, 3:0 페더러 승)
- 머레이, 첫 그랜드 슬램 결승 진출(US Open)
- 빅4 4강 최초 등장(US Open, 페더러-조코비치/나달-머레이)



2009, Federer on the Clay

Australian Open : Rafael Nadal / Roger Federer
French Open :  Roger Federer / Robin Soderling
Wimbledon :  Roger Federer / Andy Roddick
US Open : Juan Martin Del Potro / Roger Federer




- 로저 페더러 Roger Federer, 그랜드슬램 4개 대회 전부 결승 진출
로저 페더러 Roger Federer, 커리어 그랜드 슬램 달성
- 로저 페더러 Roger Federer, 그랜드슬램 우승 횟수 단독 1위(Wimbledon)
- 라파엘 나달 Rafael Nadal, 프랑스 오픈 첫 패배(31연승, 4th Round, vs Soderling, 1:3)
- 후안 마틴 델 포트로가 빅4인 앤디 머레이보다 먼저 그랜드슬램 우승(US Open)



2010, RAFA Rules!

Australian Open : Roger Federer / Andy Murray
French Open :  Rafael Nadal / Robin Soderling
Wimbledon :  Rafael Nadal / Tomas Berdych
US Open : Rafael Nadal / Novak Djokovic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커리어 골든 그랜드 슬램 달성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그랜드슬램 4개 중 3개 우승



2011, The Tremendous Novak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Andy Murray
French Open :  Rafael Nadal / Roger Federer
Wimbledon :  Novak Djokovic / Rafael Nadal
US Open : Novak Djokovic / Rafael Nadal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2003년 앤디 로딕 이후, 페더러-나달 외 첫 세계랭킹 1위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글루틴 프리 각성, 그랜드슬램 4개 중 3개 우승
- 조코비치, 머레이, 그랜드슬램 첫 대결(AO, F, 3:0 조코비치 승)
- 페더러 2002년 이후 처음으로 그랜드슬램 무관



2012, Murray, who comes out of nowhere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Rafael Nadal
French Open :  Rafael Nadal / Novak Djokovic
Wimbledon :  Roger Federer / Andy Murray
US Open : Andy Murray / Novak Djokovic
※ Olympic : Andy Murray / Roger Federer / Juan Martin Del Potro




- 앤디 머레이Andy Murray, 그랜드슬램 최초 우승(US Open)
- 앤디 머레이Andy Murray, 조코비치, 페더러 꺾고 올림픽 금메달
- 빅4가 각각 그랜드슬램 1개 씩 우승



2013, RAFA cracks the hard series.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Andy Murray
French Open :  Rafael Nadal / David Ferrer
Wimbledon :  Andy Murray / Novak Djokovic
US Open : Rafael Nadal / Novak Djokovic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Australian Open 3회 연속 우승
- 앤디 머레이Andy Murray, 77년 만에 영국인 출신 윔블던 우승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2004년 북미 하드코트 시즌 시작한 이래 최초 전 대회 석권
  (Canadian Masters 1000, Cincinatti Masters 1000, US OPEN)



2014, Who the hell

Australian Open : Stanislas Wawrinka / Rafael Nadal
French Open :  Rafael Nadal / Novak Djokovic
Wimbledon :  Novak Djokovic / Roger Federer
US Open : Marin Cilic / Kei Nishikori




- 2009년 델 포트로에 이어 5년만에 빅4 외 그랜드슬램 우승자 나옴(Australian Open)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오픈 5회 연속 우승(총 9회)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통산 그랜드슬램 공동 2위(14회, with Pete Sampras)
- 2005년 호주오픈 이후, 10여년 만에 빅4 외 선수들끼리 결승(US Open) 
- Federer, SF, Cilic, 0:3 / Nadal, absence / Djokovic, SF, Nishikori, 1:3/ Murray, QF, Djokovic, 1:3)



2015, The Tremendous Novak, Part 2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Andy Murray
French Open :  Stanislas Wawrinka / Novak Djokovic
Wimbledon :  Novak Djokovic / Roger Federer
US Open : Novak Djokovic / Roger Federer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2차 각성, 그랜드슬램 4개 결승, 3개 우승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누적상금 랭킹 1위, 한 해 마스터즈1000 9개중 7개 석권.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2004년 이후 첫 그랜드슬램 무관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오픈 두 번째 패배(39연승, QF, Djokovic, 0:3)



2016, The invincible one's fall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Andy Murray
French Open :  Novak Djokovic / Andy Murray
Wimbledon :  Andy Murray / Milos Raonic
US Open : Stanislas Wawrinka / Novak Djokovic
※Olympic : Andy Murray / Juan Martin Del-potro / Kei Nishikori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커리어 그랜드 슬램 달성 그리고 하락세 시작
- 앤디 머레이Andy Murray, 올림픽 2연패, 처음으로 세계 랭킹 1위
- 앤디 머레이,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 그랜드 슬램 우승 횟수 동률(3회)
-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Stanislas Wawrinka, 윔블던 제외 모든 그랜드슬램 우승



2017, The Classic


Australian Open : Roger Federer / Rafael Nadal
French Open : Rafael Nadal / Stanislas Wawrinka
Wimbledon : Roger Federer / Marin Cilic
US Open : Rafael Nadal / Kevin Anderson




- 2011 프랑스오픈 결승 이후 6년 만에 페더러-나달 그랜드슬램 결승(AO)
- 페더러의 나달 상대 호주 오픈 첫 승(2009 F, 2012 SF, 2014 SF 나달 승)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 오픈 La Decima 달성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윔블던 8회(단독 1위, 그랜드슬램 통산 19회)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2014. 06 이후 3년 만에 랭킹 1위(2017. 08. 21)
- 페더러-나달의 그랜드슬램 양분은 2010년 이후 처음. 2/2는 최초.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2011년 이후 첫 한 해 3개 그랜드슬램 결승 진출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2014년 Qatar 이후 첫 하드코트 타이틀 획득(US Open)
- 로저 페더러 (W/A/W/QF) / 라파엘 나달(F/W/4R/W)



2018, Djokovic is back


Australian Open : Roger Federer / Marin Cilic
French Open : Rafael Nadal / Dominic Thiem
Wimbledon : Novak Djokovic / Kevin Anderson
US Open : Novak Djokovic / Juan Martin Del Potro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그랜드슬램 우승 20회 달성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오픈 우승 11회(남녀 통산 한 대회 우승 공동1위)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2016 프랑스오픈 이후 2년만에 그랜드슬램 우승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2011년 이후 최초 윔블던 SF 진출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세계랭킹 1위 및 연말랭킹 1위 복귀





2019, RAFA 12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Rafael Nadal
French Open : Rafael Nadal / Dominic Thiem
Wimbledon : Novak Djokovic / Roger Federer
US Open : Rafael Nadal / Daniil Medvedev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호주오픈 우승 7회 달성

- 2012년 호주오픈 결승 이후 두 번째 Nadal-Djokovic 결승 맞대결.
- Next Gen. : Dominic Thiem, Alexander Zverev, Stefanos Tsitsipas, Karen Khachanov, Denis Shapovalov, Frances Tiafoe, Matteo Berrettini, Felix Auger-Aliassime, Alex de Minaur, Cristian Garin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오픈 우승 12회 달성(남녀 통산 한 대회 우승 단독 1위)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2015년 이후 프랑스오픈 최초 참가 및 4강 진출.
- 2011년 프랑스오픈 결승 이후 최초 Federer-Nadal 클레이 맞대결
- 윔블던 최초로 파이널 세트 타이브레이크(12게임) 도입





2020, 20-20-17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Dominic Thiem
French Open : Rafael Nadal / Novak Djokovic
Wimbledon : Canceled
US Open : Dominic Thiem / Alexander Zverev






- 노박 조코비치 Novak Djokovic 호주오픈 8회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오픈 13회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윔블던 8회
- 2차대전 이후 최초로 윔블던 대회 취소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그랜드슬램 20회 동률
- 도미니크 티엠Dominic Thiem, 최초로 그랜드 슬램 우승. 2016 US오픈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Stanislas Wawrinka 이후 최초 Big 3 외 그랜드 슬램 우승. 
- 도미니크 티엠Dominic Thiem, 윔블던 제외 모든 그랜드슬램 결승 진출. (총 4회 1승 3패)





2021, Almost There..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Danil Medvedev
French Open : Novak Djokovic / Stepanos Tsitsipas
Wimbledon : Novak Djokovic / Matteo Berrettini
US Open : Danil Medvedev / Novak Djokovic
※Olympic : Alexander Zverev / Karen Khachanov / Pablo Carreno Busta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그랜드슬램 20회 우승으로 페더러 나달과 동률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커리어 골든 그랜드슬램 및 캘린더 그랜드슬램 아쉽게 좌절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오픈시대 커리어 최초 더블 그랜드슬램 달성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페더러의 통산 세계랭킹 1위 기간 기록 경신 (339+)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그랜드슬램 최다 결승 진출 페더러와 동률(31회)
-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RG 4R, Wimbledon QF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프랑스오픈 우승 실패 (SF, v. Djokovic)





2022, Definitely, The New One.


Australian Open : Rafael Nadal / Danil Medvedev
French Open : Rafael Nadal / Casper Ruud
Wimbledon : Novak Djokovic / Nick Kyrgios
US Open : Carlos Alcaraz / Casper Ruud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그랜드슬램 우승 2회 추가로 그랜드슬램 우승 단독 1위 (22회)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커리어 더블 그랜드슬램 달성.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윔블던 7회 우승 (역대 1위는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8회)
- 카를로스 알카라즈Carlos Alcaraz, 최연소 세계랭킹 1위 (19y 103d. 기존기록 레이튼 휴잇Lleyton Hewitt 20y 268d)
- 카를로스 알카라즈Carlos Alcaraz, 두번째로 어린 나이에 US오픈 남자 단식 우승 (1위는 피트 샘프라스Pete Sampras 19y 29d)
- 라파엘 나달Rafael Nadal의 첫 그랜드슬램 우승(2005 프랑스오픈. 19y 3d) 카를로스 알카라스Carlors Alcaraz의 첫 그랜드슬램 우승(2022 US오픈 19y 103d) 
- 캐스퍼 루드Casper Ruud, 그랜드슬램 2회 준우승(프랑스오픈, US오픈)





2023, The "24" Novak is OK.. But, Not in SW19.


Australian Open : Novak Djokovic / Stefanos Tsitsipas
French Open : Novak Djokovic / Casper Ruud
Wimbledon : Carlos Alcaraz / Novak Djokovic
US Open : Novak Djokovic / Danil Medvedev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그랜드슬램 24회 우승으로 역대 단독 1위.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프랑스 오픈 3회 우승으로 커리어 트리플 그랜드슬램. (AO 10회, RG 3회, Wimbledon 7회, US 4회)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한해 모든 그랜드슬램 결승 진출(우승 3회)





2024, Brave New World.


Australian Open : Jannik Sinner Danil Medvedev
French Open : Carlos Alcaraz / Alexander Zverev
Wimbledon : Carlos Alcaraz / Novak Djokovic
US Open : Jannik Sinner / Taylor Fritz
※Olympic : Novak Djokovic / Carlos Alcaraz / Lorenzo Musetti






 - 2002년 이후로 최초로 그랜드슬램 우승자에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가 없는 해.
 - 2003년 이후로 최초로 그랜드슬램 결승 진출에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가 단 1회만 있는 해. (2003 페더러 윔블던 우승. 2024 조코비치 윔블던 준우승)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2017년 이후로 7년만에 그랜드슬램 무관
 -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커리어 골든 그랜드슬램 달성. 
 - 카를로스 알카라즈Carlos Alcaraz(4회), 야닉 시너Jannik Sinner(2회) 모두 그랜드슬램 결승에서 전승.
  - 야닉 시너Jannik Sinner와 카를로스 알카라즈Carlos Alcaraz의 본격적인 라이벌리 시작 
  ( 상대전적 4 : 5 / 그랜드슬램 h2h 1 : 2  / 22' 윔블던 4R Sinner.  22' US오픈 QF Alcaraz. 24' 프랑스오픈 SF Alcaraz )    
  - 2022 Umag 250(시너 승) 이후 시너 - 알카라즈 간 대회 결승 대결이 없는 점은 아쉬움. 
  








-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 이후 Next Gen 중 그랜드슬램 우승자  
   1. 도미니크 티엠Dominic Thiem (20' US오픈), 
   2. 다닐 메드베데프Danil Medvedev (21' US오픈), 
   3. 카를로스 알카라즈Carlos Alcaraz (22' US오픈, 23' 윔블던, 24'프랑스오픈, 24' 윔블던) 
   4. 야닉 시너Jannik Sinner (24' 호주오픈, 24' US오픈)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 이후 Next Gen 중 그랜드슬램 준우승자 
   1. 도미니크 티엠Dominic Thiem( 18' 프랑스오픈, 19' 프랑스오픈, 20' 호주오픈)
   2. 다닐 메드베데프Danil Medvedev (19' US오픈, 21' 호주오픈, 22' 호주오픈, 23' US오픈, 24' 호주오픈)
   3. 알렉산더 즈베레프Alexander Zverev (20' US오픈, 24' 프랑스오픈)
   4. 스테파노스 치치파스Stepanos Tsitsipas (21' 프랑스오픈, 23' 호주오픈)
   5. 마테오 베레티니Matteo Berrettini (21' 윔블던)
   7. 캐스퍼 루드Casper Ruud (22' 프랑스오픈, 22' US오픈, 23' 프랑스오픈)
   8. 닉 키리오스Nick Kyrgios (22' 윔블던)
   9. 테일러 프리츠Taylor Fritz (24' US오픈)







※ Won Grand Slam 3/4 in 1 year : 
- Roger Federer(2004, 2006, 2007)
- Rafael Nadal(2010)
- Novak Djokovic(2011, 2015, 2021, 2023)

※ All Grand Slam finals in 1 year :
- Roger Federer(2006, 2007, 2009)
- Novak Djokovic(2015, 2021, 2023)

※ Novak Slam : 2015 Wimbledon - 2015 US - 2016 AO - 2016 RG

2022년 9월 16일 금요일

GOODBYE, GOAT.


 



하여간 더럽게 눈치 없는 새끼..

다시봐도 추접스럽다..






황제로서는 2008년 윔블던이나 2009년 호주오픈보다
더 안타까운 일이었지 않겠나 싶다



한 번은 더 도전하고..
한 번은 더 우승할 줄 알았는데..
이렇게 한 시대가 끝났다..


2019년 윔블던이 우승으로 끝났으면 더없이 좋았을텐데..
결국 황제는 여기서 그만두기로 하셨다.


이제 남은 건.. 
어느덧 지치고 노쇠한 나달과,
멍청함과 재수없음이 절정에 달한 조코비치와,
관심종자 같은 NexGen 놈들 뿐이다.



이제 더이상 테니스는 우아하지 않다.
GOODBYE, GO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