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9일 월요일

목적성



  요즘 무언가를 읽어야할 목적성이 있다. 그래서 뭘 읽을 때마다 흥미가 안 생긴다. 무언가를 읽을 때마다, "내가 이 글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가. 이 글을 어떻게 인용하고 써먹을 수 있는가"를 생각하면서 읽는 것 같아서 그렇다. 그러면 글을 읽는 행위가 순수하지 않고, 도구적인 것만 같아서 읽기가 아예 싫어진다. 그렇다고 목적성이 없이 읽는다고 잘 읽히는 건 아니다. "구체적인 필요가 없을 때"는 "구체적인 필요가 없어서" 안 읽거나, 그저 글자만 휘리릭 지나갈 뿐이다. 구체적이지 않고, 가시적이지 않은, 추상적인 대의성이나, 막막하기만 했던 야망에 취해 느닷없이 무언가를 몰입해서 읽었던 과거만을 추억할 뿐이다. 



  예전에는 수능만 잘보면 되었다. 그런데 요새는 수능이 쉬워졌다고 한다. 꾸준히 정부는 수시나 입학 사정관제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도입해왔다. 최근에 어떤 수험생으로 부터 대학 입학 면접 문제라며 해설을 질문받은 적이 있다. 아노미 현상이나, 사회계약에 관한 질문이었다. 단지 개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학부 졸업생들에게 물어도 쉽게 대답할 수 있을까 싶을 만한, 매우 구체적이고 어려운 질문이었다. 나는 꽤나 당황스러웠다. 뭐 한낱 고등학생 수준에게 이런 걸 질문해도 되나 싶었다. 더욱 놀라웠던 건 소위 SKY라고 불리우는 학교도 아니고, 서울권에 있는 중위권 정도 되는 학교의 질문이었다. 


  과거에는 수능시험에 대한 비판이나 비난이 많았던 것 같다. 단편적이고 획일적인 시험 한 방에 대학이 결정된다는 사실이 사교육을 방조하고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지나친 부담을 주며, 창의적이고 열린 학습에 방해만 될 뿐이라는 지적이었다. 그래서 정부는 꾸준히 수시의 비중을 높이고, 수능시험의 난이도를 쉽게 하였다. 학생들에게는 논술이나 면접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다양한 학외활동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뭐 그렇다고 수능의 비중이 크게 낮아진 것 같지도 않다. 수험생들의 말을 들어보면, 수시에 합격해도 사실 상 수능성적등급이 상위권에 있어야 입학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와 비슷한 모습을 대기업 공채를 비롯한 취업시장에서도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기업들은 다양한 학외활동들을 강조한다. 봉사활동도 해야되고, 인턴도 해야되고, 동아리도 해야되고, 회장 같은 것도 해봐야 한다. 뭐 그렇다고 학점이나 영어점수가 없어도 되는 건 아니다. 학점도 적당히 좋아야 하고, 영어점수도 적당히 좋아야하고, 자격증도 적당히 있어야 한다. 


  대학 입시나 취업 시장이나 똑같은 것 같다. "다양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경험"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시에 "점수" 또한 강조되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겉으로 보기에는 변해가는 제도들이 다양성이라는 것을 갖춰가는 것 처럼 보여 좋기도하지만, 어차피 그 다양성이라는 것 또한 정량적 순위매기기의 연장일 뿐이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수험생들과 취준생들은 똑같이 푸념한다. "다양성"같은 건 잘해야 하는 가지수가 더 늘어난 것 뿐이라는 것이다. 어차피 순위싸움이다. 어떤 인생을 살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그저 점수도 높아야 되고, 봉사활동도 많이 해야되고, 학외 단체 혹은 학내 단체의 중요한 자리도 가져야되고, 수상경력도 있어야된다. 외국어고등학교나 해외연수 경력이 있으면 더 좋다. 그렇게 어렵게 서류를 통과하면, 책도 많이 읽고, 글도 잘써야하고, 정확하고 깔끔한 말하기 능력도 갖춰야한다. 취준생에게 프레젠테이션 능력은 필수다. 


  말해놓고 보니 너무 과한 이야기가 아닌가도 싶다. 어차피 저거 다 잘하는게 아니더라도 합격하는 경우도 많다. 어떤 한 가지를 특출나게 잘하면, 다른 것들이 용서되기도 한다. 항목의 다양성을 늘린다는 게 마냥 미국을 따라한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긴 하지만, 부정적인 일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럼 저런 과중한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입시나 취직이나 시험 한 종류 혹은 두 종류로 통일하면 어떨까? 그럼 또다시 비난이 빗발칠것이다. 마치 현 시점의 국정교과서 논란 처럼 말이다. 또 가짓수가 줄어든다고, 수험생이나 취준생들의 부담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다. 그들이 투자하는 절대시간은 어차피 늘어나지 절대 줄어들진 않는다. 그렇다면 문제의 시작은 다른 차원에 있을 것 같다. 


  뭐 대략 경쟁이 심해서가 아닐까? 뭐 경쟁이란 게 지금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 과거에도 있었을 거고, 미래에도 있을 거다. 어떤 시험에서 경쟁이라는 게 없어지면 그건 시험이라는 정체성이 사라지는 일일 것이다. 그렇다면 경쟁이 "너무" 심한 가? 조금 심해보이긴 하다. SKY 대학교의 학교 입학정원을 모두 합쳐봤자, 전 수험생의 1%도 안된다. 허수를 뺀다고 하더라도 크게 달라지는 건 없을 것이다. 그런데 꽤나 많은 학생들이 SKY라는 목표를 세우고 공부하고 있다. 취직시장도 비슷한 처지다. 몇 몇 대기업의 공채 숫자는 대학졸업생이나 유예생이나 졸업예정자의 숫자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그런데 대다수의 취준생들은 대기업 취직을 꿈꾼다.


  개인 대 개인으로 만난다면, 당연히 경쟁에서 살아남도록 죽도록 노력하라고 말하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전체 사회의 거시적 담론으로 생각해본다면, 정말 뻘짓이다. 수험생, 취준생들의 허망한 야망을 탓해야할지,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공채 인력을 늘리지 않는 대기업과 대학교들을 탓해야할지, 아니면 그냥 정부가 잘못이라고 탓하면 되는 건지. 멜서스가 말한대로 그냥 전쟁이나 전염병이 나서 깨끗하게 인구가 줄면 문제가 다 해결될지도 모르겠다. 



  뭐 어쨌건, 다 잘하면 된다. 무언가 되기 위해서, 입시를 거쳐, 취직을 거쳐, 치킨집을 거쳐, 편안한 노후까지. 어쨌건 그냥 다 잘하면 될 것 같다. 어차피 너무 편안하게 해주면, 필요를 느끼지 않아서 책을 읽지 않는 나 처럼 아무것도 안할거다. 그래서 대충 읽게 될지언정 가시적인 목적성이라도 주면 되지 않겠는가. 안읽는 것 보다는 낫지 않은가.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 그 대학생들이 되기 위해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보며, 많은 생각이 떠오른다. 그들이 준비하는 다양성이라는게 어차피 경쟁에 떠밀려, 과목의 확장에 불과한게 아닌가 싶다. "입학"을 위해, "취직"을 위해 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마치 내가 억지로 읽는 것처럼 의미가 결여된 행동일 뿐일게 아닐까 겁이난다. 마치 목표 할당량이 정해진 공장의 노동자들처럼 기계적으로 양을 채울 뿐이다. 그러한 목표의 할당량은 삶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지 않을까 싶다. 누군가 양을 정해주길 바랄뿐이다. 어떤 종목, 어떤 과목이 나오든 어차피 등수 싸움이다. 100점까지 채우면 된다.  그게 박정희 대통령이든 박근혜 대통령이든, 전두환 대통령이든, 노무현 대통령이든, 하여간 대통령이든 누구든 양을 정해주길 바란다. 전과목 100점까지만 채우면 된다. 뭐 이런 것도 일종의 아노미가 아닐까 싶다. 그러고 보면 참 정부가 하는 일이 힘들 것 같기도 하다. 



  가시적 목적성에 이끌려 책을 살피다 순수성 타령하며 집어 던지고 뻘생각이나 하고 있는 나에게 어울리는 건 그저 참 무능력한 인간이라는 딱지 밖에 없는 것 같다.




2015년 7월 6일 월요일

어느 날


 
 
1.
 
  서점에 가보면 시대가 흐를 수록 점점 더 야비해지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과거에는 "주식, 부동산, 재테크" 등으로 점철된 각종 "성공"을 향한 인생지침서, 자기계발서들이 난무하더니, 이제는 "인문학"을 빙자한 것들이 난무하는 것 같다. 그다지 시덥지도 않을 것 같은 "성공한 개인"들의 인생 철학들은 300%는 족히 되보이는  줄간격과 자간으로 200쪽도 안되는 양을 겨우 채워, 1만원권 문화상품권을 내고도 5000원은 더 쥐어줘야 하는 가격에 잔뜩 책장에 진열되어 있다. 약속을 기다리는 건지, 책을 보러 온건지 알 턱이 없는 수 많은 사람들은 책장앞에 얼쩡거리고 있다. 모두들 그 "인문학"을 읽으면, "성공"에 다가갈 수 있는 건지 궁금해하는 눈치다. 
  사색하지 않으려하거나, 도무지 신중해지려 하지 않는 무지한 우리 모두를 위해 "인문학" 전문가들이 조금이라도 쉽게 알려주려고 인문학을 빙자한 값비싼 폐지들을 그렇게도 많이 출간하는 건지, 아니면 "성공"을 대놓고 써놓는 게 너무 천박해보인다는 걸 깨달은 우리 모두가 "인문학"을 방패삼아 여전히 "성공"을 쫓고 싶은 건지. 어쨌건, 500만원으로 20억을 벌었다거나 하던 과거나 지금이나 그다지 달라진 건 없어보인다. 인문학이고 나발이고,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파는 오천원 짜리 "논어"는 여전히 시간에 썩어가고 있다.
 
 
2.
 
  먼 과거, 어떤 경제학을 공부하시는 선생님께  평소 어떤 취미를 가지시는 지 여쭤본 적이 있다. 그 선생님께서는 조금은 거창하게 "인문학"을 읽는다고 말씀하셨다. 평소 열린 관점들을 여러 번 선생님께 배운 적이 있어, 상당히 기대하고 어떤 책들을 읽으시는 지 물었다. 경제학에서 채워주지 못하는 사람들의 감정적 행위들에 대한 이해를 위한 셰익스피어의 희곡들이라던가, 학자로서, 연구가로서의 고뇌를 생각하며 "파우스트"를 숙독하신다던지라는 거창한 대답을 기대했다. 선생님께서는 시중에 나온 각종 인생지침서, 자기계발서들을 읽는다고 하셨다. 그런 책을 보면 마음이 편안해지신다고 하셨다. 
 
 
     3.
 
  어린 시절 가장 역겨웠던 순간 중에 하나는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49가지 이야기인가 하는 흔히 널려 있는 이야기 모음집을 읽을 때였다. 온 갖 따뜻한 이야기들이 널려있었다. 집안사정으로 신문배달 하던 9살 소년이 짠해서 먹을 것을 하나씩 주던 아주머니를 그 소년이 성공한 사업가가 되어 찾아가 보답한다던가, 아픈 할아버지를 위해 자신이 먹을 것을 희생해가던 어린 소녀이라던가, 뭐, 유명한 나폴레옹 이야기라던가.  그 책이 역겨웠던 이유는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죄다 "성공한 사업가"가 되고, "성공한 음악가"가 되고, "성공한 정치인"이 되고, "성공한 자선가"가 된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아름답게 살아야 "성공한 XXX"가 된다는 건지, "성공한 XXX"가 되어야 마음이 따뜻한 사례가 된다는 건지. "성공한 XXX"가 강조되는 것 같아서 무지 역겨웠다.
 
 
 
 
 
 
 
 
 
 
 
 

2015년 6월 18일 목요일

책임



  4년 전 쯤, 나는 굉징히 큰 잘못을 저질렀다. 나는 그 잘못을 절대 되돌릴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그 잘못은 남은 나의 모든 삶을 채우는 참회와 반성으로써만 책임지어질 것이다. 하지만 설사 그렇게 한다고 하더라도 그 잘못이 남긴 수많은 상처들이 회복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고, 내 잘못이 속죄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어차피 돌이킬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앞으로도 나는 계속 속죄의 침울함, 죄값을 치른다는 노력 속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때때로 그 속죄와 반성이 잊혀질 때가 있다. 내가 저지른 잘못은 까맣게 잊고, 나를 잘못에 빠지게 만들었던 새로운 세속적 향락에 경박해질 때가 있다. 상상속에 미소지으며 즐거움을 쫓으려한다. 그런 나 자신을 발견 할 때마다, 깊은 역겨움이 몰려온다. 그런 것들은 내가 가질 수 있는 것들이 아니고, 내가 가지려해서도 안되는 것들이다. 이미 4년 전 내가 선택한 잘못에 의해 거부되었고 포기되었던 것들일 뿐이다. 이 무겁고 불편한 죄악은 이미 그 때 전부 예정되어있었다. 


   책임을 진다는 것, 정말 어려운 일이다. 나는 자격이 없다. 나는 침울해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로 4년 전의 내가 선택했기 때문이다. 




2015년 5월 11일 월요일

더운 오후





  더운 오후였다. 전 날 밤을 지새운 나는 그 피곤함을 참지 못하고, 집에 들어오자 마자 나른한 바닥에 그대로 쓰러져 잠이 들었다. 하지만, 단잠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오그라들어 자는 내게 친구가 덮어준 담요도 소용없었다. 윙~ 윙~ 거리는 소리는  내 귓속으로 파고 들었고, 나는 몽롱한 채로 억지로 일어나야만 했다. 매미가 백 마리는 모여서 웅얼거리는 것 같았다. 어디서 공사를 하는 건가 싶어 찌들어있는 몸을 이끌고 친구와 밖으로 나갔다.
  7살, 8살 쯤 되보이는 아이들이 낡은 RC카를 가지고 놀고 있었다.  내 모든 일상 의 분노가 전부 윙윙거리는 RC카로 향했다. 친구가 권한 담배를 피워 물며, "저 멍청한 RC카가 내 근처로만 다가오면 밟아버리겠다.", "이 빌어먹을 동네에 전부 불을 질러버릴거다.", "못배워쳐먹은 애새끼들을 전부 발로 까버리던가 해야겠다."라며, 온 갖  분노를 친구에게 쏟아냈다. 아이들을 노려보며 RC카가 가까이 다가오기만을 기다렸다. 저 멍청한 RC카가 내 근처로만 오면 밟아버릴거라고, 밟아 부숴버리겠다고 끊임없이 다짐했다.
  마침내 아이들이 RC카를 내가 있는 쪽으로 몰기 시작했다. 나는 RC카의 윙윙거리는 소리에 취해 분노의 끝을 보기 시작했다. 그 때 였다. RC카 리모컨을 들고 있던 꼬마아이가 갑자기 나를 보며 크게 외쳤다. "많이 시끄러우시죠? 죄송해요. 금방 들어갈거에요."
  도무지 형언할 수 없는 수치심이 몰려왔다. 부끄러워서 고개를 들 수가 없었다. 급하게 담배불을 밟아 끄고, 꽁초를 호주머니에 챙겼다. 꼬마아이와 눈이 마주치기가 두려워 재빨리 고개를 돌렸다. 얼굴이 화끈거려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꼬마아이들은 지나가면서 다시 한번 죄송하다고 외쳤다.   "빌어먹을..."   녀석들은 나를 다시 한 번 사살했다. 나와 친구는 부끄러움이 범벅되어있는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고개를 숙인 채 미친 듯이 끅끅대었다. 아이의 부모님께 엎드려 절하면서 사죄를 빌고 싶었다. 녀석의 대학등록금이라도 내주려면 부지런히 돈 벌어야겠다고 친구와 이야기했다.
  저 멀리 창문에서 녀석의 어머니로 보이는 분이 "얼른 들어와 밥먹어" 라고 외치고, 그 꼬마아이는 대답을 하며 집으로 돌아갔다. 다른 아이들도 흩어졌다. 내가 얼마나 최악인 인간인지 녀석이 한 방에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 꼬마 녀석 덕분에 친구와 나는 찌들어있는 불평, 불만을 잠시 거둬 둔 채 밝게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부지런히 공부하고, 부지런히 돈 벌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그 꼬마녀석의 등록금을 내주려면 말이다.








2015년 4월 4일 토요일

Because I met my Beatrice.



29


When in disgrace with Fortune and men's eyes
I all alone beweep my outcast state,
And trouble deaf heaven with my bootless cries,
And look upon myself and curse my fate,
Wishing me like to one more rich in hope,
Featur'd like him, like him with friends possess'd,
Desiring this man's art, and that man's scope,
With what I most enjoy contented least;
Yet in these thoughts myself almost despising,
Haply I think on thee, and then my state
(Like to the lar at break of day arising
From sullen earth) sings hymns at heaven's gate,
For thy sweet love rememb'red such wealth brings,
That then I scorn to change my state with kings.



From W. Shakespeare's Sonnets
 
 
 
 

2015년 4월 3일 금요일

The next one



Tracy : I'm on permanent hiatus in the love department.

Cindy : Really? I find that hard to believe.

Tracy : I guess I'm old fashioned. I believe that each of us only gets one. And I got mine already.

Cindy : Well. If you ask me, you know what comes out after the one?... "The next one."




How I met your mother, Season 9, ep 16
 
 
 

2015년 3월 12일 목요일

7 rules of life



 1. Make peace with your past so it won't screw up the present.

 2. What others think of you is none of your business.

 3. Time heals almost everything, give it time.

 4. Don't compare your life to others and don't judge them. You have no idea what their journey is all about..

 5. Stop thinking too much, it's alright not to know the answers. They will come to you when you least expect it.

 6. No one is in charge of your happiness, except you.

 7. Smile. You don't own all the problems in the world.



from 9gag.